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모란] 목살 스테이크와 닭갈비 - 이전에 먹은 것들

소스에 찍어 먹으면... ㅎ.ㅎ

두꺼워서 익는데 시간이 필요함

얼마 전에 속 불편하다며? 라고 하실까봐 미리 말하지만 이건 요즘 먹은 것이 아닙니다.

예전에 먹은 걸 올리는 거죠.

아는 사람의 소개로 모란역에 있는 화로 참숯 닭갈비라는 곳을 찾아가게 되었는데, 사실 소개라 해도 모란에 있다는 말을 듣고 별 기대는 하지 않았었는데 깜짝 놀랐습니다.

가장 위에 있는 것은 닭갈비고 아래는 목살 스테이크인데 닭갈비는 2인분에 16,000원, 목살은 1인분에 한덩이인데 9,000원이어서 나쁘지 않은 가격입니다. (아무래도 남자 3명인데 아무리 맛이 있어도 비싸면 좀 곤란하죠. ㅎㅎ)

간단한 소감은 빨리 먹고 싶다면 닭갈비, 천천히 먹어도 된다면 목살이 아닐까 싶습니다.
저 같은 경우는 거꾸로 먹었죠. 다들 배고파서 목살 익는 것을 기다리지 못해 술로 배를 채우고.........

닭갈비는 찍어 먹을 수 있는 소스가 같이 나오는데, 매운 맛과 안 매운 맛이었습니다. 찍어 먹으니 어쩐지 노점에서 파는 꼬치를 먹는 느낌이더군요. 목살은 두툼하니 정말 고기 먹는 느낌이어서 좋더군요. ㅎㅎ

아무래도 모란에 간간히 찾아갈 집이 생긴 것 같습니다. ^^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태백 깜짝 여행 : 한강 수원지 검룡소, 황지 시장, 낙동강 수원지

강릉을 지나 태백으로 향했다. 갑작스럽게 떠난 여행은 나에게도 갑작스러웠지만 모두에게도 그러했는지 가는 길에 사람으로 인한 불편함이 없었다. 해발 600m, 해발1000m 높이의 산길을 지나 태백에 도착하니 시원함과 서늘한 공기가 반겨왔다. 목적지는 한강 수원지라고 불리는 검룡소. 이곳에서부터 흘러흘러 북한강과 남한강으로 그리고 두물머리에서 한강으로 합쳐지는 듯 했다. 이름에 용이란 말이 있듯 구불구불한 조그마한 물길이 있었다. 으레 그렇듯 이곳에도 전설이 하나 있는데 간단하게 이야기하면 이무기가 용이 되기 위해 이곳까지 찾아오게 되었는데 산을 오르고 머물게 된 곳이 구불구불한 계곡과 검룡소라고 한다. 이무기가 용이 되기 위해 왔다고 할 정도여서 그런지 태백에서도 거리가 있고 깊은 곳에 있으나 검룡소 주차장이 있는 곳까진 차를 타고 올 수 있었다. 주차장 이후부터 약 1km 정도 걸어가야했는데 가는 동안 시원한 계곡물 소리와 울창한 나무 때문에 산림욕을 즐길 수 있었다. 검룡소를 보고 나와 저녁을 먹기 위해 황지 자유 시장으로 발걸음을 옮겼다. 재미난 것은 보통 정육점이라고 부르는데 이곳은 식육점이라고 불렀고 정육 식당은 실비 식당이라고 불렀다. 덕분에 나도 모르게 보험이 생각나 버렸다. 꽤 한우가 유명한 모양인지 상당히 많은 식육점과 실비 식당을 볼 수 있었고 맛도 상당했다. 저녁을 먹으러 간 황지 시장 옆에 황지 연못이 있는데 이곳은 낙동강 유원지라고 한다. 전혀 생각지도 못하게 낙동강을 보게 되었을 정도로 공원 한 가운데에 있는 연못이 수원지라고 한다. 생각지도 못하게 맛있는 저녁과 낙동강 수원지를 보게 되었다. 아직 하늘의 공원이라는 곳이 남았으나 아쉽지만 다음 기회에.

Townsman - 시저 3가 생각나는 게임

심시티가 현대도시라면 이것은 중세의 영주가 되어 자신의 영지를 만들어가는 게임입니다. 제목에도 있듯 시저3와 많은 부분 비슷한 면이 있습니다. 일종의 테크트리가 있죠. 예를 들어 주민 수를 늘리기 위해선 잉여 식량이 필요한데 그를 위해 빵을 만들어야 하고 빵을 만들기 위해선 농장을 지어 밀을 생산하고 제분소를 지어 생산된 밀을 빻아 밀가루로 만들고 제빵소를 지어 빵을 만들어야 합니다. 다만 이런 샌드 박스 게임 류는 한 번 불태우고 나면 선뜻 손이 안 간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확실히 재미는 있더군요.

양면테이프 튼튼한데.. 잘 찢어져(iphone6)

아이폰의 배터리를 고정하는 양면테이프가 얼마나 튼튼한지 이번에 알게 되었다 무슨 말이냐면 배터리 교체 기간이 지나  자가 교체를 시도했다. 의외로 간단해 보였는데 문제가 발생했다. 양면테이프가 찢어졌다!! 그래서 시도한게 핀셋 헤어드라이기 지렛대 힘? 일단 배터리를 살짝 들어 찢어진 양면테이프를 집으려 했지만 얼마나 말려들어갔는지 잡히지 않았다. 그러면 다행이게? 오히려 집으려다 더 깁숙히 말려들어갔다. 헤어드라이기로 뒷 판을 가열하면 잘 떨어진다는 말이 있어 시도를 했지만... 잘 떨어진다는 기준을 의심하게 되었다. 쇠젓가락을 배터리와 뒷 판 사이에 끼워넣고 지렛대 원리를 생각하며 떼어내려 했지만 오히려 쇠젓가락이 휘어졌다. 마지막으로 우악스럽게 힘으로 배터리를 구기며 떼어내자 성공? 역시 힘이 최고였다. PS. 배터리가 안 터진게 천만다행